메뉴 바로가기 검색 및 카테고리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빛출판네트워크

한빛랩스 - 지식에 가능성을 머지하다 / 강의 콘텐츠 무료로 수강하시고 피드백을 남겨주세요. ▶︎

IT/모바일

[알고리즘] 단순 탐색과 이진 탐색 성능 비교

한빛미디어

|

2024-12-31

|

by 아디티야 바르가바

233

알고리즘은 어떤 일을 하기 위한 명령의 집합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모든 코드를 알고리즘이라고 부를 수 있겠지만,  대개는 다른 코드보다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아주 흥미로운 문제를 풀기 위한 것을 뜻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볼게요.
 

  • 이진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코드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행해야 할 단계가 40억 단계에서 32단계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내비게이션은 그래프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합니다.
  • 동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면 체커 게임을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모든 알고리즘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무엇이든 간에 대부분 이미 구현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모든 알고리즘을 직접 코딩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알고리즘 간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미리 구현해 놓은 알고리즘은 별로 쓸모가 없습니다. 병합 정렬을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퀵 정렬을 사용해야 할까요? 혹은 배열과 리스트 중 어느 것이 더 좋을까요? 단순히 다른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성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방금 예시로 들었던 알고리즘 중 이진 탐색(Binary Search)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고 실무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기본적인 알고리즘입니다.

 

 

 


 

✅이진 탐색(Binary Search)

 

전화번호부에서 누군가의 번호를 찾고 있는 중이라고 가정해 볼게요(옛날에는 전화번호부란 책자가 있었어요!). 찾을 사람은 박씨입니다. 어떻게 찾는 것이 좋을까요? 전화번호부의 처음 ㄱ부터 ㅂ으로 시작되는 이름이 나올 때까지 페이지를 한 장씩 차례대로 넘기면서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방법보다는 일단 책 한가운데를 펼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게 더 좋겠죠? 가나다 순서대로라면 전화번호부의 중간쯤에 박으로 시작되는 이름이 있을 테니까요.

 

사전에서 단어를 찾을 때도 마찬가지죠. 찾으려는 단어가 알파벳 O로 시작한다면 마찬가지로 사전의 중간부터 펼쳐 볼 겁니다. 

 

페이스북에 로그인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페이스북은 일단 우리의 계정이 진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이디를 찾아야 합니다. 아이디가 “karlmageddon”이라고 가정해 볼게요. 페이스북은 알파벳 A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이 아이디를 찾을 수도 있겠지만, 중간 어디쯤에서 찾기 시작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탐색search 문제라고 합니다. 그리고 앞에서 예로 든 모든 경우에 이진 탐색binary search이라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진 탐색은 알고리즘입니다. 입력으로는 정렬된 원소 리스트를 받습니다. 이진 탐색 알고리즘은 리스트에 원하는 원소가 있으면 그 원소의 위치를 반환하고, 아니면 null 값을 반환합니다.

 

 

 

 

이진 탐색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예를 들어 볼게요. 1과 100 사이 숫자를 하나 생각합니다.  이제 가능한 한 가장 적은 횟수의 추측으로 이 숫자를 알아내야 합니다. 한 번 추측할 때마다 찾아야 하는 숫자보다 제시한 숫자가 더 작은지, 더 큰지, 맞는 숫자인지 알 수 있습니다. 만약 1, 2, 3, 4, … 순서대로 모두 추측한다고 하면 다음 그림과 같겠죠.

 

 

 

 

이런 방법을 단순 탐색simple search(바보 같은 탐색이라는 말이 더 맞을지도 몰라요)이라고 합니다. 한 번 추측할 때마다 추측한 숫자 하나가 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뿐입니다. 만약 답이 99라면 답에 도달하기까지 99번 추측해야 합니다.

 

 

 

 

 

• 더 좋은 탐색 방법

 

더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100의 중간, 즉 50부터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50이 더 작다”라는 대답 하나로 숫자의 절반이 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부터 50까지의 숫자가 더 작다고 하니까 이번에는 남은 51과 100까지의 숫자 중 중간에 해당하는 75로 추측해 봅니다.

 

 

 

 

75가 더 크다는 것을 알았으므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75와 같거나 더 큰 숫자들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이진 탐색에서는 매번 남은 숫자 중 가운데 숫자를 말하고 대답에 따라 그보다 큰 혹은 작은 숫자들을 한꺼번에 없앨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63(50과 75의 중간)이 정답인지 추측해 봅니다.

 

 

 

 

이것이 바로 이진 탐색입니다. 우리는 방금 알고리즘을 하나를 배웠습니다! 얼마나 많은 숫자를 답에서 제외했는지 다시 살펴볼게요.

 

 

 

 

한 번에 아주 많은 숫자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숫자가 답이 되든지 최대 7번 만에 정답을 맞힐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사전에서 단어를 찾고 있다고 가정해 볼게요. 이 사전에는 단어가 240,000개 있습니다. 최대 몇 번 만에 정답을 찾을 수 있을까요?

 

 

 

 

만약 찾으려는 단어가 사전의 제일 끝에 실려 있다면 단순 탐색으로는 240,000번 추측해야 하겠죠. 하지만 이진 탐색으로는 남은 단어의 절반을 한 번에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진 탐색으로는 18번 만에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단순 탐색과 비교가 안 되죠! 만약 n개 원소를 가진 리스트에서 이진 탐색을 사용하면 최대 log2n번 만에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단순 탐색이면 최대 n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실행 시간

 

만약 이진 탐색을 사용하면 얼마나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까요? 숫자를 하나하나 확인하는 단순 탐색을  쓰면 리스트에 100개 원소가 있는 경우 100번 추측해야 합니다. 만약 원소가 40억 개가 있다면 40억 번 추측해야 하죠. 그러니까 추측해야 할 최대 횟수는 리스트의 길이와 같습니다. 이를 선형 시간linear time이라고 합니다.

 

이진 탐색은 다릅니다. 만약 리스트 안에 원소가 100개 있다면 7번만 추측해도 되죠. 리스트의 길이가 40억 개라고 해도 32번만 추측하면 됩니다. 굉장하지 않나요? 이진 탐색의 경우에는 로그 시간logarithmic time으로 실행됩니다.

 

 

 

 

 

이진 탐색을 비롯하여 알고리즘을 공부하면, 지금까지 엄두 내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것들이죠.

  • 비디오 게임을 만들고 싶다면 그래프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따라다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 KNN 알고리즘을 사용해 추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배웁니다.
  • 어떤 문제는 적절한 시간 내에 풀 수 없습니다! NP-완전 문제에 대한 내용에서는 어떤 문제가 적절한 시간 내에 풀 수 없는 문제인지 알아내고, 대략적인 답을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보여 줍니다.

 

 

 새롭게 배운 지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사용되는 더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배울 수도 있고,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어려운 부분을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위 컨텐츠는 『그로킹 알고리즘(개정판)』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입력
자료실

최근 본 상품0